현재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금리인상등으로 경제 적으로 힘든 시기에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나 얼마 전 정부에서는 시중 금융권과 연계하여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출시하였는데요 자격 조건을 잘 따져보고 내가 해당된다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이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최고 연 4.5%의 금리를 제공하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이자소득 비과세 및 소득공제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저축 상품으로, 현재 시중 은행에서 신청 가입 가능합니다. 이 청약통장을 통해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면, 분양가의 최대 80%까지 연 2%대 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 통장은 저축에서 청약, 그리고 대출까지 연계하여 청년층의 자산 형성과 내 집 마련을 지원하고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기존에 있던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가입 대상과 혜택을 확대하여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
1.1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자격
지원 자격과 조건에 대해서 확인해 보면 나이가 만 19세 이상에서 34세 이하이고, 연 소득이 5000만 원 이하면서 본인 명의의 주택이 없는 사람은 누구나 해당 상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달 최고 10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이나 청년도약계좌 만기 후 수령한 목돈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한꺼번에 납입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해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는 다른 금융상품과의 연계성을 높인 상품입니다.
1.2 혜택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가입기간 동안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하면 그 금액에 대해 최대 연 4.5%의 금리를 제공하며, 연말정산 시에는 연간납입액의 40%(최고 300만 원)까지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만기 시 발생하는 이자소득 중 500만 원까지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절세형 금융상품입니다.
또한, 앞으로 청년 주택드림청약통장을 통해 아파트를 분양 받을 경우에는 계약금과 중도금 등 분양대금의 최대 80%까지 연 2%대 금리로 빌려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 상품이 올해 12월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대출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오는 12월 중에 최종적으로 결정될 예정입니다.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자격 가입 조건이 충족되어 통장을 가지고 있다면 이렇게 내 집 마련 시에도 여러 가지 우대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2. 가입 및 전환 방법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하고자 하는 고객은 우리, 국민, 신한, 농협 등 9개 은행 영업점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가입했던 분들은 별도의 신청 없이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하실 수 있습니다. 전환해도 이전에 납입한 횟수와 금액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내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자격에 해당된다면 가까운 은행 지점에서 기존 청약 저축 상품을 쉽고 편하게 전환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이사를 가야 하거나, 전세금이 부족해서 대출을 받아야 하는 청년이라면 아래의 내용들도 같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군대에 계신 분들도 얼마든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장병들이 군부대 안에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편리하게 해당 상품에 가입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진행 중이며, 올 상반기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자격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비대면으로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페이지를 통해서도 가입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3. 맺음말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관련 정보들을 꼼꼼히 살펴보시고 앞으로 내 집 마련 계획을 세우고 계신 분들이라면 꼭 가입하셔서 여러 가지 혜택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최근에는 시중 은행보다 저축은행에서 제공하는 예금이나 적금 상품의 금리가 조금 더 높은 편이지만,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과 같이 신규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도움이 되는 금융상품은 없습니다.
이율도 4.5%로 높은 편이라 장점이 많으니 빨리 가입하셔서 내 집 마련의 꿈을 꼭 이루시길 바랍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앞으로 청년층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대상 범위를 넓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 나오면 좋겠습니다.